장로회헌법
당회편
노회편
총회편
법원판례
학술지(교회와 법률)
교회재산권
칼럼논단
교회법 동영상
아침편지
편집
2023.11.18 [23:29]
총회편
총회, "성석교회 공동의회 열어 교회 재산 분배하라" 지교회 재산권 침해
(리폼드뉴스) 대법원은 2006년에 그동안 50년 동안의 판례를 변경하는 전원합의체 판결이 있었다. 이 판결 후 17년이란 세월이 흘렀다. 이 판례의 핵심 ...
소재열
| 2023.11.18 20:26
제108회 총회(통합) 명성교회에서 개최 '교회법 위반인가?
(리폼드뉴스) “제27회 총회 신사참배 결의는 일제의 탄압에 못 이긴 결정이었으나 이것이 하나님 앞에서 계명을 범한 것임을 자각하고 남부대회가 신사 ...
한국교회법연구소
| 2023.08.25 23:02
장로회 헌법 제정 공포 100주년
대한예수교장로회 헌법이 제정되고 공포된 지 꼭 100년이 되었다. 조선예수교장로회 제11회 총회(1922. 9. 10)에서 대한예수교장로회 헌법이 제정 공포되었 ...
한국교회법연구소
| 2022.12.12 08:11
명성교회 관련 교단헌법 제28조 제6항, 총회의 해석은 적법
(한국교회법연구소) 대한민국 내에 산재해 있는 기독교의 모든 교회는 종교단체로서 대한민국 헌법 제20조의 종교의 자유와 21조의 집회와 결사의 자유 ...
소재열
| 2022.05.13 18:58
총회규칙 및 총회선거규정 개정효력 논란
(한국교회법연구소)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05회 총회(합동, 총회장 소강석 목사)는 ‘총회규칙 및 총회선거규정’을 개정했다. 개정내용을 기록한 회의록 ...
소재열
| 2021.01.01 13:49
총회재판국 판결 환부의 의미
총회가 총회재판국 판결을 유지하면서 노회로 파기환부 했다는 결의를 하지 않았다. 이 말 자체가 법리상 논리가 맞지 않다. 총회재판국의 판결을 유지 ...
소재열
| 2017.10.01 12:41
제102회 총회 마지막 날 결의 효력정지 소송
마지막 날 의사정족수 하자로 무효를 주장한 측에서는 “노회의 과반수와 총대 목사 장로 각 과반수가 출석하면 개회할 성수”가 결의된 상태에서 개회 ...
소재열
| 2017.09.30 21:53
번안동의(재론동의) 원칙에 따라야
회기중에 부결된 안건이 절차상 하자였다면 결정된 의안을 다시 재론하여 재결정하는 것을 ‘번안 동의’라 하며 또한 “재론동의”고도 한다. ...
한국교회법연구소
| 2013.10.02 07:24
총회 제자교회 수습위, '한서노회 소속으로 결정'
제자교회 소속노회가 ‘한서노회냐, 서한서노회냐’는 법적으로 매우 중요한 법률적 문제가 돼 버렸다. 담임목사였던 정삼지 목사는 불미스러운 문제 ...
한국교회법연구소
| 2013.09.03 22:24
총회실행위원회의 법리해석과 적용, 논쟁중
실행위는 위와 같은 불법행위들에 대해 권징조례 제42조 위반을 적용하여 관련자 5인에 관해 “5년간 총회 총대 및 공직 정지”와 소위 속회총회에 참석 ...
한국교회법연구소
| 2013.09.03 06:28
1
2
한국교회법연구소
PDF
지면보기
포토뉴스
소재열목사 교회적법 절차 강좌 1
교회의 각종 회의, 적법한 절차란
헌법, <정치, 헌법적 규칙> 개정헌법 해설집 출간
원로목사, 은퇴목사는 지교회 재산의 공동소유권자인가?
많이 본 기사
1
사실적시와 허위사실 명예훼손죄
2
모범 교회정관 1
3
의사정족수와 의결정족수 개념 이해
4
교회 재산의 대표자 등기변경 절차 및 준비서류
5
회의록 기록 및 채택 절차와 법적 효력
6
교회의 기부금영수증 발행 주의
7
은퇴 원로장로, 제직회 언권회원 불가
8
무임장로가 시무장로 되는 절차
9
[소재열 목사 아침편지 156] 위임목사 지위는 위임식 때로부터
10
부목사의 동일교회 담임목사 청빙 금지결의와 청빙할 수 있는 경우
총회편
많이 본 기사
1
총회, "성석교회 공동의회 열어 교회 재산 분배하라" 지교회 재산권 침해
최신기사
교회 정관상 면직목사 공동의회 소집권 유지 법리
대법원,전 담임목사의 광주시민교회 교단탈퇴 무효 확정
총회, "성석교회 공동의회 열어 교회 재산 분배하라" 지교회 재산권 침해
정관변경, 교단탈퇴 의결정족수는 교회 정관 규정대로
교회 출입금지 등 총유물 보존에 정관의 중요성